본문 바로가기
가정 세우기

[부모교육] 소아 예방접종

by 함께 솔솔 2024. 4. 24.
반응형

의사복장을 한 어린이

 

갓 태어난 아기는 면역력이 강하지 않으므로 질병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예방접종은 각종 감염 질환을 예방하는데 유용하고 비용 효과성이 높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개월에 맞춘 예방접종은 아기에게 제공하는 최상의 예방 보건 조치입니다.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일정에 따라 잊지 않고 접종해야 합니다.

 

접종백신 최소 접종연령 1~2회차 최소 접종간격 2~3회차 최소 접종간격 3~4회차 최소 접종간격 4~5회차 최소 접종간격
B형간염 출생시 4주 8주(1차 접종 16주 후) - -
DTaP 생후 6주 4주 4주 6개월 6개월
IPV 생후 6주 4주 4주 6개월(마지막 접종의 최소 연령은 만 4세) -
Hib 생후 6주 4주 : 생후 12개월 미만에 1차 접종한 경우
8주 : 생후 12~14개월 사이에 1차 접종을 한 경우
더 이상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 생후 15개월 이후에 1차 접종을 한 경우
4주 : 현재 연령이 생후 12개월 미만이고 1차 접종을 생후 7개월 미만에 한 경우
8주(마지막 접종) : 1차 접종을 생후 7~11개월에 한 경우로 생후 12개월 이후 실시, 또는 현재 연령이 생후 12~59개월이며 1차 접종을 생후 12개월 미만에 하고 2차 접종을 생후 15개월 미만에 한 경우
더 이상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 이전 접종을 생후 15개월 이상에서 한 경우
8주(마지막 접종) : 생후 12개월 이전에 3번의 접종을 한 생후 12~59개월 소아만 필요  
PCV 생후 6주 4주 : 생후 12개월 미만에 1차 접종한 경우
8주(마지막 접종) : 건강한 소아로 생후 12개월 이후에 1차 접종을 한 경우
더이상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 건강한 소아로 1차 접종을 PCV 13으로 생후 24개월 이후에 한 경우 단, PCV10으로 접종한 경우 8주 간격으로 접종(마지막 접종)
4주 : 현재 연령이 생후 12개월 미만이고 이전 접종을 생후 7개월 미만에 한 경우
8주(마지막접종) : 건강한 소아로 이전 접종을 생후 7~11개월에 한 경우로 12개월 이후 실시, 또는 현재 연령이 생후 12개월 이상이며 1회 이상 생후 12개월 이전에 접종한 경우
더 이상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 이전 접종을 생후 15개월 이상에서 한 경우
8주(마지막 접종) : 생후 12개월 이전에 3번의 좁종을 한 생후 12~59개월 소아 또는 접종연령에 관계없이 3회 접종받은 고위험군  
MMR 생후 12개월 4주 - - -
수두 생후 12개월 - - - -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
생후 12개월 4주 6개월 2년 5년
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
생후 12개월 4주 - - -
A형 간염 생후 12개월 6개월 - - -
로티바이러스
감염증
생후 6주 4주 4주 - -

 

 

  • B형 간염 : 3처 접종의 최소 연령은 생후 24주입니다.
  • DTaP : 4차 접종을 만 4세 이후에 접종하였다면 5차 접종은 생략해도 됩니다. 
  • IPV : 3차 접종을 만 4세 이후에 실시할 경우에는 2차 접종과 3차 접종이 6개월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고, 6개월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4차 접종이 필요합니다. 
  • Hib : 만 5세 이상의 건강한 소아에는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 PCV : 만 5세 이상의 건강한 소아에는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 MMR : 2차 접종의 표준 접종 시기는 만 4~6세이지만 해당 감염병이 유행할 경우 최소 접종 간격으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 
  •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 : 1~2차 최소 접종 간격은 4주지만, 일본뇌염 유행 국가에 30일 이상 체류 등으로 가속 접종이 필요한 경우 최소 7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할 수 있습니다. 3차 접종을 만 4~9세에 한 경우는 4차 접종을 만 12세 이후에 실시하고 접종을 종료하며, 3차 또는 4차 접종을 만 10세 이후에 기초접종을 실시한 경우에는 더 이상 추가접종을 하지 않습니다. 만 11세 이후에 기초접종을 시작한 경우에는 총 3회를 접종 완료해야 합니다. 
  • 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 : 국내에서는 생후 12개월부터 접종하나 국외에는 약독화 생백신은 생후 8개월부터,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백신은 9개월에 접종을 추천합니다. 
  • A형 간염 : 접종 간격은 제품에 따라 6~36개월이며, 접종받지 않은 만 2세 이상 소아는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합니다. 
  • 로티바이러스 감염증 : 첫 접종의 최대 연령은 14주 6일이며, 15주 0일 이후에는 접종을 시작하지 않습니다. 접종할 수 있는 최대 연령은 8개월 0일까지입니다. 로타릭스(Rotarix)는 2회, 로타텍(Rotateq)은 3회 접종합니다. 

지연된 예방접종이란, 권장 접종 시기보다 1개월을 초과하여 접종한 경우이며, 접종이 지연되었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접종하지 않고 지연된 접종부터 접종하면 됩니다. 

 

불활성화 백신과 약독화 생백신에 대해 알아봅시다.
불활성화 백신 : HepB, DTaP, IPV, Hib, PCV, HepA, JEV(불활성화 백신), Flu
약독화 생백신 : BCG, Rota, MMR, Var, JEV(약독화 생백신)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하나의 주사로 여러 질병을 예방하는 혼합 백신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테트락심(DTaP-IPV, Sanofi Pasteur), 인판릭스-아이피브이(DTaP-IPV, GSK), 펜탁심(DTaP-IPV-Hib, Sanofi-Pasteur)이 사용됩니다. 

접종 월령과 간격
최상의 접종 효과를 얻으려면 권장하는 월령과 간격을 잘 지켜야 합니다. 만약 최소 접종 월령보다 일찍 접종하거나 최소 접종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접종했다면 잘못된 접종으로 간주합니다. 이때에는 잘못된 접종 일로부터 최소 접종 간격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시 접종해야 합니다. 접종 간격을 넘겼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접종할 필요는 없으며 이후부터는 최소 접종 간격에 맞춰 따라잡기 접종을 하면 됩니다.

접종할 때, 통증을 줄이는 방법은 아이를 보호자 무릎에 편안히 앉혀 안아주는 자세를 취하고, 보호자가 아이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끌면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모유 사유를 해서 아이가 엄마 품에서 달짝지근한 모유를 먹으며 통증을 잊게 할 수도 있습니다. 모유 수유를 할 수 없다면 단맛이 나는 액체, 예를 들어 농도 25%의 설탕물 2ml 정도를 먹여도 좋습니다. 예방접종 전 외용 국소마취제를 주사 부위에 도포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을 맞히고 약 20~30분 동안 의료기관에 머물렀다가 나오도록 하고, 목욕은 하루 정도 미루는 편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전 주의사항을 말씀드리면, 소아과에 갈 때는 반드시 육아수첩을 지참해 주세요. 접종 수첩은 평생을 보관해야 합니다. 접종 후 핸드폰으로 접종 수첩에 기록된 내용을 사진으로 찍어서 보관하는 것이 더 안전하겠죠. 그리고 아침에 아기의 체온도 한번쯤 미리 재서 열이 없는 것을 확인해 주시고, 목욕은 미리 시키고, 깨끗한 옷을 입혀서 다녀오세요. 주 양육자인 엄마가 직접 데리고 가는 것이 좋으며, 만약 다른 사람이 데려갈 때는 아기의 현재 상태와 이번에 접종할 것이 무엇이며, 몇 차 접종인지를 적어서 보내시기 바랍니다. 혹시나 잘못해서 다른 것을 맞히는 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예방접종은 며칠 늦어도 괜찮습니다. 날씨가 나쁘면 며칠 연기하세요. 아빠가 데려다줄 수 있는 편한 날이 있으면 그날 접종해도 좋겠죠.


예방접종 후 발열이 생기는 경우는 비교적 흔합니다. 접종 후 1~2일간의 발열은 단순히 접종 후 생기는 신체 반응으로 생각하셔도 좋으며, 해열제를 먹이며 관찰하셔도 좋겠습니다. 부루펜(이부프로펜) 성분의 해열제는 6개월 이후의 연령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제는 6개월 미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열을 목적으로 한 일반적인 해열제의 사용은 생후 3개월 미만에서는 주의하셔야 하며, 의사의 판단을 받아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후 3개월 미만의 아기는 특히 감염성 질환에 취약하므로 1~2개월 접종 후 발열이 있다면, 특히 더 신경을 써서 의사의 진찰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3일 이상 나는 열이나, 너무 고열인 경우, 접종 후 1~2일 이내라 하더라도 잘 놀지 않고 잘 빨지 못하는 등 아기의 컨디션이 나쁘고 아파 보이거나, 가래 기침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접종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감염성 질환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보셔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