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건네는 말은 아이의 마음을 강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화법을 알아두세요.
아빠가 들려주는 5가지 마법의 문장을 기억하세요.
아빠가 들려주는 5가지 마법의 문장
1. 자존감을 키워주는 아빠의 말 "사랑해"
평소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자주 해주세요. 연인 사이, 부부 사이에도 “나 사랑해?”라고 물어 대답을 듣고 싶은 것처럼 아이들도 마찬가지랍니다. 부모에게서 듣는 사랑한다는 말은 아이에게 매우 큰 기쁨과 행복감을 선물해요. 실제로 평소에 사랑한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자란 아이는 그렇지 못한 아이들에 비해 자존감과 사회성이 월등히 높으며, 어려운 상황을 잘 풀어내는 문제해결력, 자신감 등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특히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부모의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가 큰 위안이 됩니다. 잘못했다는 생각에 불안했다가도 부모가 여전히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확신하면 불안감 대신 새로이 도전할 용기를 얻는 거죠.
2. 성취 동기를 북돋우는 말 "가장 힘든 건 뭐야?"
대부분 부모는 “잘했어”라는 말이 아이의 성취 동기를 북돋우는 데 가장 효과적인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이가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그 과정에 관심을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게 어려운 걸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어?”, “그렇게 시도한 건 참 좋은 생각이구나!”라며 아이의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했는지 이야기를 나누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아이는 부모가 나의 고민과 목표를 같이 공감해준다고 느끼며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아니라 ‘어떻게 해야 할까?’를 생각하는 힘을 갖게 될 것입니다.
3. 공감 능력을 키워주는 말 "기분이 안 좋았을 것 같구나."
아이의 공감 능력을 키우고 싶다면 아이가 스스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공감을 얻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느끼게끔 도와주세요. 단 “지금 아빠 기분이 어떨 것 같아?” 식의 질문으로 아이의 공감 능력을 끌어내려고 하기보다는 “아빠가 화를 내서 많이 속상했겠구나”라고 말을 건네는 편이 낫습니다. 아이는 ‘아빠도 화가 많이 났을 텐데 내 마음을 먼저 알아주니 좋다’라고 느끼는 동시에 타인의 입장을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됩니다.
4. 정서 발달을 돕는 말 "솔직하게 말해줘서 다행이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 오가는 솔직한 표현과 대화는 아이의 정서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어느 정도 자라면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부모를 ‘속이겠다’라는 계산보다는 야단맞는 상황이 두려워 피하고 싶은 심리 때문이에요. 그러니 아이가 잘못한 사실을 솔직히 털어놨다면 야단치는 대신, 솔직히 말할 용기를 낸 점을 칭찬해 주세요. 예를 들어 “아빠에게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 잘못을 이야기하는 건 많이 힘든 일인데 정말 용감하구나”라고 말해주는 것이죠. “아빠가 네 속을 뻔히 아는데 어디서 거짓말이야?”, “내가 그럴 줄 알았다” 식의 표현은 용기 내어 진실을 털어놓은 아이에게 큰 상처가 됩니다. 자칫하면 ‘어차피 솔직히 말해도 혼날 테니 다음부터는 거짓말을 해야겠다’라고 생각하게 할 수 있어요. 아이가 말하기를 주저할 때는 “우리 북돋아주세요.
5. 사회성과 판단력을 키워주는 말 "사람들은 서로 많이 달라"
어린아이들은 아직 ‘다름’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불만을 표시하거나 ‘다름’을 보이는 아이를 몰아세우기도 합니다. 그러니 아이에게 사람마다 서로 다른점이 있음을 설명하고, 개인의 고유성과 그 소중함에 대해 일
러줄 필요가 있습니다. “구를 더 좋아하지? 그것처럼 사람들은 서로 다른거야”라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야기해주면 아이가 좀 더 쉽게 이해한답니다.
참고도서 : 아이를 크게 키우는 말 vs 아프게 하는 말
(정윤경, 김윤경 저, 덴스토리)
'가정 세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교육] 자기 이해 _ 있는 그대로의 '나' 사랑하기 1 (0) | 2024.05.13 |
---|---|
[부모교육] 아이의 창의성을 키워주는 아빠의 질문 (0) | 2024.05.07 |
[부모교육] 연년생, 쌍둥이 육아 (0) | 2024.05.07 |
[부모교육] 아빠의 성교육 (0) | 2024.05.03 |
[부모교육] 아빠의 육아 스트레스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0) | 2024.05.03 |